a test taker sitting with a laptop

여러분은 null를 지원하면서 '추천서'라는 용어를 접하게 됩니다. 하지만 이게 정확히 무슨 의미일까요? 이름에서 알 수 있듯, 추천서란 학생, 직원이나 동료에 대한 추천을 기록한 서류입니다. 이는 레퍼런스 또는 LOR라고 축약해서 쓰기도 합니다. 학생에게 있어 이 서류는 입학 사정관이 지원자에 대해 심층적으로 살펴보는 데 도움을 줍니다. 단언컨대 이는 감독관과 멘토, 상급자, 가이드 또는 교수진에게 있어 지원자의 강점과 영향력 있는 부분을 강조할 수 있는 확실한 도구 역할을 합니다.

효과적인 LOR은 간결하면서도 집약적으로 임팩트있게 쓰여야 합니다. LOR은 매우 중요한 서류로 이력서와 혼동해서는 안됩니다. 이를 명확히 구분해야 잠재적인 지원 실패 확률을 낮출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좋은 LOR은 뭘까요?

좋은 LOR 작성 방법

추천서 작성 시 몇 가지 고려해야 할 지침사항이 있습니다. 이러한 원칙은 입학사정관이 지원자와 추천의 적합성에 대한 포괄적인 인사이트를 얻는 데 도움이 됩니다. 누군가에게 추천서를 부탁할 때에는 다음과 같은 요소가 포함될 수 있는지 확인하세요.

  1. 조언자, 멘토, 교수진, 교사, 슈퍼바이저, 동료 등 여러분과의 관계를 간략하게 설명하세요.

  2. 관찰한 사항이 직접 혹은 간접적인지에 대한 여부를 강조해야 합니다. 직접적인 상호작용은 참여 정도에 대한 이해를 명확하게 제공해 더 많은 가중치를 갖게 됩니다. 일례로, 'Y씨가 이끄는 그룹에서 일하는 동안 그를 관찰했다'는 메시지는 다른 사람을 통해 지원자를 알고 직접적으로 관찰에 참여했음을 강조하게됩니다.

  3. 과정에 대한 여러분의 자격과 적합성을 정확하게 평가해야 합니다/program/study. 지나친 자랑보다는 얼마나 학과에 잘 어울리는가를 강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자면 관련 과정, 수업 등수(예: 교실/대학에서 상위 3위 또는 상위 1%)에서의 자신의 성과를 언급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4. 학업적인 상세 사항을 설명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 아니라면 경쟁에 의한 시험의 등급이나 점수는 언급하지 않도록 합니다. 이러한 정보는 이미 지원서에 포함되어 있으니 LOR에서 반복할 필요가 없습니다.

  5. 관련성이 있거나 꼭 필요하다고 보이는 경우에 한해 여러분의 개인정보나 민감한 정보를 포함시키세요.

  6. 해당 대학교에 여러분이 갖고 올 자질과 특별한 기여를 설명하세요. 여러분이 입학함으로써 제공할 수 있는 긍정적인 변화와 영향, 새로운 학습에 대해 설명하세요. 특히 비교는 상황별 예시와 비교 근거가 뒷받침 되는 경우에는 가치 있을 수 있습니다. 일례로, 추천자가 가르치는 과정에서 'X'명의 학생들 사이에서 얼마나 자신이 돋보일 수 있었는지를 강조하고 진취적인 사례를 제시하세요.

추천서는 왜 중요한가요?

가장 효과적인 추천서란 억지로 좋은 점을 써야 하는 상황이 아닌 사람이 쓰는 것으로 시작되는 것이 본질입니다. 만약 누군가 시간적 제약이 있어 바쁜 상황에서 이를 작성하게 되면 200~250단어로 적절하게 쓰이는 것이 아닌 50단어 정도만 쓰게 되면 가치를 잃게 됩니다. 급한 상황에서 불분명하고 대충 작성된 추천서는 없느니만 못합니다. 추천은 권위와 위상이 있는 개인이 이를 작성할 때에 가중치를 얻게 됩니다.

그러므로 추천서 작성을 부탁할 분을 고를 때에 각별히 신중해야 합니다. 때론 교류가 어렵고 까다로운 멘토보다는 기존에 관계가 있고 편한 관계를 가진 사람을 선택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그러므로 공식적으로 추천서를 요청하기 전에 이에 대한 필요성을 논의하고, 작성에 앞서 상세하게 대화를 나누는 것이 중요합니다. 추천서를 써 주시는 분이 간략한 기록이나 개요를 통해 과정, 관심사에 대해 잘 알고 있는지 확인합니다. 또한 연관된 날짜를 정확하게 기입해야 합니다.

잘 짜여진 건설적인 추천서는 지원서가 성공적인 결과로 이어지는 데에 큰 역할을 합니다. 추천서 지침이 필요한 경우 언제든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IDP 카운셀러에게 도움을 요청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