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age

국제 유학 지원서용 학업계획서(SOP) 작성 방법

다루는 주제

자기소개서라고도 불리는 학업계획서는 여러 대학들이 여러분의 지원서 요건 중 하나로 요구하는 에세이에 해당합니다. 이 문서는 여러분이 누구인지, 왜 이 기관에서 공부하려는 것인지, 과거의 경험과 미래의 목표에 대한 정보를 전달해 지원서에서 상당한 수준의 가중치를 갖습니다.

이 프로세스는 입사 지원서 커버레터 작성과 다소 유사하지만 학문적 작문 스타일에 보다 많이 의존하게 됩니다.

형식 및 구조

고전적인 형식을 유지하고, 모든 문서에 이를 적용할 것을 권장합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Times New Roman 글꼴을 사용하고 크기 12, 줄 간격 1.5, 양쪽 정렬을 모든 문서에 사용합니다.

문서 작업을 시작하면서 첫 번째로 형식 설정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문서 전체에 걸쳐 글꼴, 형식이 일관성 있게 구현되어 조직적으로 여러분 개인을 표현하고 텍스트가 정갈하게 설계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입니다.

구조적인 측면에서의 학업계획서는 일반적인 에세이 형식을 따라 진행됩니다. 소개로 시작하여 여러분의 배경에 대한 인사이트를 담은 3~4개의 간결한 단락을 사용합니다.

학업계획서를 간결하고 일관되게 유지하는 게 중요합니다. 한 페이지 혹은 최대 한 페이지 반 정도로 제한하는 게 이상적입니다. 입학 위원회는 수많은 학생들의 서류를 검토합니다. 3~4페이지의 방대한 에세이를 제출하면 읽는 데 방해가 된다는 점을 기억하세요.

주어진 형식에서 한 페이지를 약 400개 정도의 단어로 구성합니다. 이에 따라 효과적으로 단락을 할당하고 주요 정보를 강조할 수 있도록 신중하게 계획해야 합니다.

단락의 내용

솔직히 대부분 소개를 비슷하게 하는 경향이 있어요. 많은 학생들이 ‘이 프로그램이 마음에 들어서 지원한다’거나 ‘이 일에 관심이 있어서 글을 쓴다’는 식의 문구로 에세이를 시작하죠. 온라인 예시를 가이드라인으로 참고하는 게 좋긴 하지만 이걸 복사, 붙여넣기해선 안 됩니다!

평범한 서문을 쓰지 말고 독창적인 문장으로 에세이를 시작하세요. 해당 대학에 지원하게 된 계기, 관련된 개인적 이야기를 공유하는 간략한 일화로 시작할 수 있습니다. 소개는 첫인상입니다. 명심하세요. 바로 그 지점부터 읽는 사람의 관심을 사로잡아야 합니다.

여러 대학에 지원하는 경우에도 완전히 다른 이야기와 에세이를 써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에세이를 처음부터 끝까지 똑같이 써선 안됩니다.

또한 ‘이 대학에서 공부하게 되면 좋을 것’이라거나 ‘이 프로그램이 세계 최고’라는 표현을 사용해선 안 됩니다. 그보다는 특정 대학명, 특정 과정을 언급하세요. 가능한 함께하고 싶은 특정한 교수를 지목하세요. 과정, 대학에 대해 철저히 살펴봤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도록 가능한 많은 세부 정보를 포함시키세요.

두 번째 단락에서는 이 특정 과정을 진행하는 데 관심이 있는 이유를 자세히 서술하세요. 소개에서는 첫 관심을 표현한 후, 이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관심사를 설명하고 이 과정을 왜 선택했는가에 대한 정확한 이유를 제시하세요.

세 번째 단락은 과거 현장 경험을 요약합니다. 진행한 프로젝트, 실험, 현장 작업, 데이터 분석, 학습하고자 하는 과정, 관련된 모든 관련 경험을 언급하세요. 함께 작업했거나 지도를 받은 교수, 특히 그 분야에서 인정받는 저명한 교수를 강조할 수도 있습니다.

두 번째와 세 번째 단락을 자유롭게 연결하세요. 하나의 단락으로 작성할 수도, 순서를 전환할 수도 있습니다. 두 단락을 어떻게 배치하는가는 중요 사항이 아닙니다. 과거 성취 경험과 과정 진행에 대한 이유를 연결하기 위해서라면 얼마든지 괜찮습니다.

네 번째 단락에서는 가급적 마무리 단락으로 여러분의 계획과 꿈을 비롯해 미래의 포부를 명확하게 설명해야 합니다. 여기서는 ‘병원에서 일하고자 한다’와 같은 광범위한 표현 대신 구체적인 내용으로 밝힐 수 있도록 합니다. 그 대신 이 과정이 여러분의 삶의 여정에서 어떤 부분에서, 왜, 어떻게 도움이 되는지에 대해 자세하게 기입하세요.

많은 경우 가장 어렵게 여기는 측면으로는 만족스럽지 못한 성공과 성취, 포부, 커리어 계획에 대한 논의가 있습니다. 자신의 강점, 미덕을 겸손하고 균형감 있게 표현하는 것에서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여유가 있다면 지원 중인 프로그램에 따라 과정 관련 과외 활동을 언급하거나 어떤 방식으로든 자신의 기술을 강조하는 방식도 있습니다. 단, 기술 강조 시에는 세심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선생님이 되고 싶은 경우 피아노 연주 기술이 유리한 측면이 될 수 있지만 파일럿이 목표라면 관련성이 거의 없습니다.

학업계획서 구성을 위한 형식은 과거-현재-미래 순서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우선 이전 경험을 설명하고, 여러분이 프로그램에 얼마나 잘 맞는 사람인가를 기술합니다. 마지막으로 앞으로의 프로그램으로부터 무슨 이점을 얻을 수 있을까를 다루는 설명을 서술합니다.

작문 스타일

여러분의 작문 스타일은 정말 중요합니다. 여러분은 400~500개의 단어를 사용하여 여러분이 전도유망한 예비 학생이며 향후 교육에 필요한 작문 능력을 갖추고 있다는 점을 설득력 있게 설명할 수 있습니다.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아주 중요합니다. 여러분의 글을 읽는 사람들은 입학위원회입니다. 여러분의 교수가 될 수 있는 사람들이 여기에 포함될 수 있기 때문에 친근한 구어체 식의 글을 써서는 안됩니다. 하지만 진지한 관심이 부족한 것처럼 보일 수 있기 때문에 과도하게 정중하게 접근하고 싶지도 않을 것입니다.

그 중간 지점을 찾을 수 있도록 노력하세요. 에세이의 한 꼭지에서 개인적 스타일을 활용해 여러분의 인간성과 과정 입학 허가에 대한 열망을 녹여내세요. 동시에 강하고 명확하게 간결한 작문 방식을 고수하세요. 긍정적이고 자신있는 어조를 사용하고 동어 반복, 가벼운 표현을 피합니다.

마지막으로 철자와 문법 오류를 성실하게 검사해야 합니다. 학업 과정 신청을 위해 영어에 대한 여러분의 숙련도를 증명해야 합니다. 이는 여러분의 학업 과정 전체에서 그 무엇보다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학업계획서는 여러분의 언어적 능력과 지식 수준을 보여주는 좋은 플랫폼입니다.

초안을 먼저 작성하고 며칠 간 보관하세요. 다시 살펴보며 퇴고하고 편집, 교정을 거칩니다. 전체 에세이를 한 번에 구성하려는 것은 지치는 일입니다. 휴식을 취하면서 ‘훌륭한’, ‘매우’와 같이 너무 많이 사용하는 단어를 살펴보세요. 다른 사람에게 읽어봐 달라고 부탁하거나 며칠 뒤에 다시 살펴보는 건 지극히 정상적인 과정입니다.

영감을 얻을 수 있도록 온라인에서 예시들을 자유롭게 살펴보세요. 학업계획서 구체화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아이디어와 키워드를 뽑아내세요. 하지만 독창적으로 사용해야 합니다. 온라인에서 예시를 살펴볼 때에는 내용을 보는 것이 아니라 구조를 살펴봐야 한다는 것을 꼭 기억하세요. 행운을 빕니다!

유학프로필 생성을 위한 가입

프로필을 만들고, 맞춤 플랜을 세우고, 유학준비 필요한 유용한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 로그인하세요.

관련 기사

Search for articles

Dive into our extensive collection of articles by using our comprehensive topic search tool.

Select a category